1980년 5월 광주민주화운동 당시 계엄군이 시민들을 무참히 폭행하는 모습. 5·18기념재단 제공
■ 자위권 천명 전 발포 이 문서가 작성된 시점은 ‘80년 5월21일 새벽 0시20분’으로 나온다. ‘실탄 장전 및 유사시 발포 명령 하달’ 시기는 ‘(5월20일) 23시15분’으로 당시 보안대는 파악하고 있다. 5월20일 밤 11시 전남대 인근 광주역 앞에선 제3공수여단(여단장 최세창) 소속 군인의 발포로 시민 4명이 사망했다. 광주에서 군의 첫 발포 직후 보안대 보고에 ‘발포 명령 하달’이란 내용이 있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5월21일 오후 1~5시 광주 금남로에서 공수부대의 집단발포로 시민 34명이 숨졌다. 계엄사령부가 자위권 발동 천명 방침을 밝힌 뒤 자위권 발동을 허락한 것은 이런 일이 있은 뒤인 5월21일 저녁 8시30분이다.
1995~97년 수사에서 검찰은 ‘발포=자위권’으로 결론 내렸다. “상급 지휘관이나 별도의 지휘계통에 있는 특정인의 구체적 발포 명령에 따라 이루어진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자료가 없다”는 것이 이유였다. 국방부 과거사진상규명위원회도 2007년 7월 ‘12·12, 5·17, 5·18사건 조사결과 보고서’를 발표했지만 발포 명령자를 밝혀내지 못했다. 다만 국방부 과거사위는 “‘총기 사용은 긴급시라도 총장 승인 후’라고 돼 있었다”며 “발포의 경우 육군참모총장의 승인을 받는 중요 사안임에도 광주에서의 실탄 분배와 발포는 공식적인 보고는커녕, 책임을 묻지도 않고 오히려 일부 관련자에게 무공훈장을 수여했다. 최소한 계엄사 당국의 암묵적 지원 아래 행해졌다고 추정하기에 충분하다”고 밝혔다.
■ 지휘권 별도 체계 의혹 5·18기념재단이 공개한 문건에 나오는 ‘발포 명령 하달’의 상부는 누구일까? 광주에 투입된 3공수여단과 11공수여단은 지휘계선상 상부인 2군사령부와 전교사령관의 승인을 받지 않고 발포했다. 5·18 연구자들은 최세창 3공수여단장 등과 정호용 특전사령관, 전두환 보안사령관으로 이어지는 비공식적 지휘체계에서 발포 명령자를 찾아야 한다고 지적한다. <월간경향>(89년 5월호) 인터뷰 기사 ‘정호용, 광주사태 책임을 밝히다’에 나온 발언은 지휘권 이원화를 암시한다. 정호용씨는 당시 인터뷰에서 “사태가 악화되자 발포 여부를 묻는 급전이 날아와서 나는 지휘 계통 안에 서 있지 않았지만 절대 발포불가 명령을 내렸다”고 말했다. 그런데 정호용씨는 ‘5월21일만은 광주에 가지 않았노라’고 강력히 주장했다. 이 때문에 당시 광주 계엄군에 대해 전두환 등 ‘신군부’가 실제적인 지휘권을 행사했다는 의혹이 제기돼온 것이다.
5·18 ‘발포 명령 하달’ 첫 군기록 나왔다
5·18기념재단, 보안사령부 505보안대 기밀문서 공개
5월20일 23시15분 전남대 부근 병력 ‘발포 명령 하달’
1980년 5월 당시 ‘현장 지휘관이 자위권 차원에서 발포했을 뿐 상부의 발포명령은 없었다’는 군 당국의 지금껏 설명과 달리 ‘발포 명령 하달’이란 군 내부 문건이 처음으로 공개됐다. ‘현장의 군인이 알아서 총을 쐈다’는 설명에 대해 군 지휘체계 특성상 누군가 발포명령을 내렸을 것이란 반론이 끊이지 않고 있다. 사진은 80년 5월 보안사령부(현 기무사령부) 광주지역 관할 부대가 작성한 것으로 된 ‘광주 소요사태’라는 기밀문서. 5·18기념재단 제공
24일 5·18기념재단이 확보한 보안사령부(현 기무사령부) 505보안대(광주지역 관할 부대)가 작성한 것으로 보이는 ‘광주 소요사태’라는 기밀문서를 보면, 80년 5월20일 ‘23시15분(밤 11시15분) 전교사(전투교육사령부) 및 전남대 부근 병력에게 실탄 장전 및 유사시 발포 명령 하달(1인당 20발)’이라고 적혀 있다. 당시 전남대 부근에 주둔했던 병력은 제3공수여단(여단장 최세창)이다. 최세창 여단장(육사 13기)은 신군부 실세 전두환 보안사령관(육사 11기)이 제1공수여단장이었을 때 부단장을 지낸 측근이다.
다음날인 5월21일 오후 1시부터 5시까지 옛 전남도청 앞 금남로에선 공수부대원들의 집단발포로 시민 34명이 총을 맞고 사망했다.
댓글